본문 바로가기

심리학36

상담의 기본원리 내담자의 이해와 문제파악 1. 내담자의 이해와 문제 파악 상담자가 묻는 핵심 질문 중 하나인 '내담자의 문제가 무엇인가?'에 대한 내용을 살펴보자. 상담자가 내담자의 문제 파악을 정확히 하는 것은 상담의 목표 달성과 관련하여 매우 중요하다. 여기서는 내담자의 이해 및 문제 파악을 위해 필요한 상담의 원리를 살펴보고자 한다. 1) 적극적 경청을 하라 상담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상담자의 경청이다. 경청만 잘해 주어도 내담자의 문제가 해결된다고 말한다. 사람들은 자주 "자신을 진정으로 이해해 주는 사람이 없다."고 말한다. 이런 이유로 상담자가 내담자를 잘 경청해 주면 그는 자각의 확장을 통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한다. 필스는 언뜻 보기에 이상한 대립이지만 대인관계에서 진실로 나타나는 현상인 '경청 대 싸움'을 제안하였다. 누군가의.. 2022. 11. 22.
현실치료의 창시자 글래서의 생애 인간은 누구나 자신의 욕구를 달성하기 원한다. 더불어 인간은 자신의 욕구를 충족시키려는 바람에 따라 내적 세계를 창조한다는 기본적 가정하에 글래서는 현실치료를 발달시켰다. 현실치료는 "당신은 정말 무엇을 원하십니까?"라는 질문과 "현재 당신이 하고 있는 행동은 당신이 정말 원하는 것에 기여합니까?라는 질문을 바탕으로 성립되었다고 볼 수 있다. 초창기부터 뚜렷한 이론적 체계가 없었던 현실치료의 이론적 틀을 제공한 책은 파워스가 쓴 [행동: 지각의 통제(Behavior: The control of perception)]였다. 즉, 글래서는 파워스의 자문을 받아 통제이론을 현실치료의 이론적 틀로 삼아 그의 입장을 더욱 발전시켜 왔다. 글래서는 1996년에 현실치료의 기저가 되는 이론이 실제로 통제이론이기보다 .. 2022. 11. 21.
심리극의 기원인 모레노의 생애 인생은 연극이고 우리 각자는 연극의 주인공이다. 우리가 하는 역할이 우리의 자아를 결정한다. 삶이라는 연극에서 모든 개인은 주인공으로서 역할을 하며 주변 사람들과 다양한 역할연기를 하며 살아가고 있다. 개인은 자신의 삶의 주체인 주인공으로서 어떻게 역할을 수행해 왔는가에 따른 다양한 경험을 통해 자신이 누구인가를 인식한다. 심리극은 개인이 항상 타인과의 관계를 맺으며 삶을 연극처럼 살아간다는 전제에서 개발되었다. 심리극은 전문적 지식과 훈련을 가진 연출가가 심리극에 참여한 내담자들을 대상으로 역할연기, 행동 시연 등과 같은 다양한 활동을 통해 그들의 자발성과 창조성을 촉진하는 집단치료로 행동 접근방식이다. 심리극의 기원은 모레노가 1921년에 비엔나에서 시작했던 '자발성 극장'으로 본다. 모레노가 192.. 2022. 11. 18.
심리상담의 기본원리에 대해 알아보자 1. 상담자의 신념과 태도 상담자는 내담자와 함께하는 참여적 관찰자이며 촉진자이다. 상담자가 갖는 신념과 상담에 임하는 태도는 내담자에게 영향을 준다. 이런 점에서 상담의 원리로써 상담자가 상담에 임하는 신념과 태도에 관련한 여섯 가지 내용을 알아보고자 한다. 1) 변화에 대한 확신을 가져라. 지금까지 상담자들은 상담에 대한 많은 연구결과를 통해 내담자의 변화에 대한 상담의 효과를 입증해 왔다. 상담자는 내담자의 변화를 위한 조력자다. 변화의 조력자가 변화가 일어날까 하는 의구심을 갖고 상담에 임한다면 그것은 상담자의 역할을 소홀히 하거나 포기하게 하는 동인다. 상담자가 상담활동을 통한 변화에 대한 확신이 없다면 다른 직종으로 전문성을 바꾸어야 한다. 즉, 상담자는 변화에 대한 확고한 믿음을 바탕으로 변.. 2022. 11. 17.